과목개요 | 가정은 사회복지의 중요한 근간이자 사회유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. 이러한 가족 및 가정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,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. 본 교과목에서는 건강한 가정의 특성과 의미, 필요성,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. 이후 건강가정에 대한 연구동향과 여러 이론들, 생애주기별 가정의 건강성에 대해 학습하고, 건강가정기본법 및 각종 건강가정정책과 서비스, 시설 등의 배경, 내용, 문제 등을 살펴보고 분석해 본다. 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가정 및 가족의 변화를 사회변화의 흐름과 함께 고려하고, 앞으로의 건강한 가정을 만들기 위한 과제 및 전망을 알아보고 이를 위한 효과적인 사회복지적 대안을 고찰한다. 나아가 사회복지분야에서 건강한 가정 및 그 중요성을 깊이 있게 인식하고, 건강가정사업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습득하여 자신의 가정에서부터 사회복지적 실천을 하고,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위한 각종 사회복지적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.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학습목표 | 1. 가족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, 가족에 대한 다양한 이론 및 한국가족의 쟁점과 관점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2. 건강가정의 개념과 특성 및 건강가정의 등장배경을 학습함으로써 건강가정의 가치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. 3. 가족생활 주기별 가족의 건강성과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가족의 건강성을 제시할 수 있다. 4. 건강가정에 관한 국가적 개입의 필요성으로 인해 건강가정기본법을 도입하면서 시행된 건강가정정책과 건강가정사업, 전달체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가족에 대한 다양한 개입방법을 파악하고 제시할 수 있다. 5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개입으로서 가족치료와 가족생활교육을 학습함으로써 가족의 문제 해결과 예방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. 6.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자격 및 건강가정사를 위한 실천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. 7. 건강가정지원을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를 탐색하고, 다양한 가족의 건강하고 친밀한 삶을 위한 건강가정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. | |||||
평가기준 |
|
|||||
※ 수료기준은 진도율 80% 이상 및 총점 60점 이상을 충족하셔야 합니다. | ||||||
성적분포 | A 이상 | 30% 이내 | B 이상 | 70% 이내 | C+ 이하 | B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비율 |
※ 단, 위의 각 비율은 과목 특성 등의 사유로 학습자의 10% 범위 내에서 증감 조정이 가능. | ||||||
교재 |
|
수강신청
2025.01.02 (Thu) ~ 02.12 (Wed)까지
학습기간
2025.02.13 (Thu) ~ 05.28 (Wed)까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