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목개요 | 노인복지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문제를 예방, 경감,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. 본 과목은 인구고령화와 노인에 대한 이해 및 노화의 주요측면과 관련이론들을 살펴보고, 노인복지정책의 기초지식으로 행정체계, 재정, 관련법들을 파악한 후, 소득보장, 의료보장, 주거보장, 사회적 서비스 등의 차원에서 노인복지정책을 학습한다. 또한 노인상담, 사례관리, 프로그램 등 노인복지서비스 및 실천에 대해 이해하고, 노년기의 건강, 정신보건, 사회참여, 소외, 장기요양 등 노인복지 분야별 쟁점과 과제에 대해 알아본다. 마지막으로 한국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의 과제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에 대해 고찰한다. 이를 통해 급속한 고령화라는 한국의 현실에서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고, 노인복지의 과제 및 전망과 함께 대안을 세울 수 있고, 이후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서 효과적인 노인복지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게 한다.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학습목표 | 1. 백세시대(Homo Hundred)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노인문제 해결을 위해 노인복지의 이론 및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. 2. 노인복지학의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고 각각의 정의와 적용된 이론을 통해 노인복지실천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3. 노인복지행정 및 정책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활용하여 노인복지서비스 및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수 있다. 4. 노인복지 관련법과 사례관리기술 등을 올바로 이해하여 현장에서 실무영역으로 접목할 수 있다. 5. 현실에서의 노인 및 노인복지에 관한 이해를 제고하여 노인복지의 과제 및 고령화 대처방안 등을 제시할 수 있다. | |||||
평가기준 |
|
|||||
※ 수료기준은 진도율 80% 이상 및 총점 60점 이상을 충족하셔야 합니다. | ||||||
성적분포 | A 이상 | 30% 이내 | B 이상 | 70% 이내 | C+ 이하 | B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비율 |
※ 단, 위의 각 비율은 과목 특성 등의 사유로 학습자의 10% 범위 내에서 증감 조정이 가능. | ||||||
교재 |
|
수강신청
2025.01.02 (Thu) ~ 02.12 (Wed)까지
학습기간
2025.02.13 (Thu) ~ 05.28 (Wed)까지